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586?language=python3
이번 문제에서 처음에
'뒤','앞' 이게 무슨 뜻인지 파악하기가 어려웠다.
일단 문제를 읽어보자.
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.
각 기능은 진도가 100%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.
또,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
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,
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.
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,
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.
제한 사항
작업의 개수(progresses, speeds배열의 길이)는 100개 이하입니다.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.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,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.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%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%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.
그냥 예제를 보고 파악
앞,뒤는 index 기준으로 이해하면 된다.
앞 = 이전 index,
뒤 = 이후 index
예시
progresses | speeds | return |
[93, 30, 55] | [1, 30, 5] | [2, 1] |
[95, 90, 99, 99, 80, 99] | [1, 1, 1, 1, 1, 1] | [1, 3, 2] |
즉 [93,30,55] 에서
앞 단계인 93은 7일만에 완료.
뒤 단계인 30은 3일만에 완료된는데
뒤 단계인 30이 먼저 완료되어도,
앞 단계인 93이 4일을 더 일해야하기 때문에
30이 배포를 하지 못하고 더 기다려야한다
상세 풀이 방법
1. 아래 3번째 열, 각 Process별 소요일을 먼저 구한다.
progresses | speeds | 각 Process별 소요일 days_left에 소요일 저장 |
return |
[93, 30, 55] | [1, 30, 5] | [7, 3, 9] | [2, 1] |
[95, 90, 99, 99, 80, 99] | [1, 1, 1, 1, 1, 1] | [5, 10, 1, 1, 20, 1] | [1, 3, 2] |
2. 아래 조건 수행
조건 1.
각 Process별 소요일( days_left 배열 )을
순차적으로 비교하면서 앞의 Index의 value가 더 작으면 바로 answer배열에 1 저장
즉, 1개 기능만 먼저 배포 가능
왜냐하면 위에 두번째 예시를 보면 처음에 95%였던 기능은 5일만에 끝났음에도
뒤에 90이었던 기능은 5일차에는 95%까지만 개발 되었다.
문제의 핵심 ?
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.
조건 2.
앞의 Index의 Value가 더 크면 , 즉 앞의 기능이 더 오래걸린다는 뜻이므로
예제 1번에서 day_left의 0번 인덱스 값 7과 1번 인덱스 값 3을 비교하면
뒤에는 3일만에 끝났으나, 앞에는 7일이 걸림.
그래서 뒤에
import math
def solution(progresses, speeds):
answer = []
n = len(progresses)
'''
나는 아래처럼 짯는데
책에서는 한줄로...
days_left = []
for i in range(n) :
left = (100-progresses[i]) % speeds[i]
day = (100-progresses[i]) // speeds[i]
if left == 0 :
days_left.append(day)
else :
days_left.append(day+1)
'''
#위와 같이 각 progess별 며칠동안 작업하는지를 담은 days_left배열을
#책에서는 아래와 같이 짰다.
days_left = [math.ceil((100-progresses[i]) / speeds[i]) for i in range(n) ]
waiting_day = days_left[0]
finish_days = 1
for i in range(1,n) :
if days_left[i] <= waiting_day :
#현재 index < 이전 index
finish_days+=1
else:
answer.append(finish_days)
waiting_day=days_left[i] #4
finish_days = 1 #1
answer.append(finish_days)
print(answer)
return answer
끝
'프로그래밍 이야기 > 파이썬 코딩 테스트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코딩테스트 스터디 5주차 #1 - 해시의 개념 및 함수 (1) | 2024.07.14 |
---|---|
파이썬 코딩테스트 스터디 4주차 #4 - 카드 뭉치 (1) | 2024.07.14 |
파이썬 코딩테스트 스터디 4주차 #2 - 요세푸스 문제 (0) | 2024.07.09 |
파이썬 코딩테스트 스터디 3주차 #6 -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(0) | 2024.07.09 |
파이썬 코딩테스트 스터디 3주차 #5 - 주식 가격 (0) | 2024.07.08 |